절초(九節-草)

 

학명 : Chrysanthemum sibiricum

 

 

 

 

 

 

서울창포원(2011.10.21)

'식물원 > 서울창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삽주 열매  (0) 2011.10.27
구기자나무 열매  (0) 2011.10.27
박하꽃(페퍼민트꽃)  (0) 2011.10.26
감국과 꿀벌  (0) 2011.10.24
감국(Chrysanthemum indicum)  (0) 2011.10.22

 

 

박하(薄荷)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유선()이 있다.

여름에 옅은 자주색 또는 흰색의 작은 꽃이 줄기 윗부분에 윤산

() 꽃차례로 달리고, 열매는 달걀 모양의 수과()를 맺는다.

한방에서는 잎을 약용하고 향기가 좋아 향료,음료,사탕 제조에도

쓴다. 중국이 원산지로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등지에 분포한다.

 

 

 

 

 

서울창포원(2011.10.21)

'식물원 > 서울창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기자나무 열매  (0) 2011.10.27
구절초  (0) 2011.10.27
감국과 꿀벌  (0) 2011.10.24
감국(Chrysanthemum indicum)  (0) 2011.10.22
10월에 핀 원추리꽃  (0) 2011.10.22

 

감국(Chrysanthemum indicum)

 

학명 : Chrysanthemum indicum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식물 전체에 털이 나 있으며 키는 40~80㎝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잎가장자리가 날개깃처럼 갈라졌다.

꽃은 10~11월에 노랗게 두상(頭狀)꽃차례로 피는데, 꽃의 지름은 2.5㎝ 정도이다. 꽃의 향기가 진하며

노란색 꽃이 아름다워 뜰에 심어도 좋다. 한방에서 쓰이는 감국은 10월에 꽃을 따 그늘에서 말린 것으로

현기증,두통,눈물이 나오는 병,연주창(連珠瘡)등을 치료하며,기침이 심한 사람에게 감국을 달여 먹여도

좋다. 꽃을 따 술에 넣어 마시기도 하며 어린잎을 삶아 물에 우려서 나물로 쓰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꽃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은 정유(精油)를 국화유(菊花油)라고 하여 배가 아프거나 창에 찔린

상처의 치료에 쓰기도 했다.

감국과 비슷한 식물로 산국이 있는데, 산국은 꽃의 지름이 1.5㎝ 정도이며 줄기가 곧추서는 점이 감국과는

다르다.

 

 

 

서울창포원(2011.10.21)

'식물원 > 서울창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절초  (0) 2011.10.27
박하꽃(페퍼민트꽃)  (0) 2011.10.26
감국(Chrysanthemum indicum)  (0) 2011.10.22
10월에 핀 원추리꽃  (0) 2011.10.22
복자기나무 단풍  (0) 2011.10.22

 

감국(Chrysanthemum indicum)

 

학명 : Chrysanthemum indicum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식물 전체에 털이 나 있으며 키는 40~80㎝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잎가장자리가 날개깃처럼 갈라졌다.

꽃은 10~11월에 노랗게 두상(頭狀)꽃차례로 피는데, 꽃의 지름은 2.5㎝ 정도이다. 꽃의 향기가 진하며

노란색 꽃이 아름다워 뜰에 심어도 좋다. 한방에서 쓰이는 감국은 10월에 꽃을 따 그늘에서 말린 것으로

현기증,두통,눈물이 나오는 병,연주창(連珠瘡)등을 치료하며,기침이 심한 사람에게 감국을 달여 먹여도

좋다. 꽃을 따 술에 넣어 마시기도 하며 어린잎을 삶아 물에 우려서 나물로 쓰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꽃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은 정유(精油)를 국화유(菊花油)라고 하여 배가 아프거나 창에 찔린

상처의 치료에 쓰기도 했다.

감국과 비슷한 식물로 산국이 있는데, 산국은 꽃의 지름이 1.5㎝ 정도이며 줄기가 곧추서는 점이 감국과는

다르다.

 

 

 

 

 

 

 

 

서울창포원(2011.10.21)

'식물원 > 서울창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하꽃(페퍼민트꽃)  (0) 2011.10.26
감국과 꿀벌  (0) 2011.10.24
10월에 핀 원추리꽃  (0) 2011.10.22
복자기나무 단풍  (0) 2011.10.22
서울창포원  (0) 2011.07.06

근심을 잊는다하여 망우초라고도 하며, 꽃이 하루만 핀다하여

Daylily 라고 한다.

 

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vespertina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다.

6~7월에 누런 녹색 꽃이 오후에 피기 시작해서 다음 오전에 지고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익는다.

산지()에서 자라며,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서울창포원(2011.10.21)

'식물원 > 서울창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국과 꿀벌  (0) 2011.10.24
감국(Chrysanthemum indicum)  (0) 2011.10.22
복자기나무 단풍  (0) 2011.10.22
서울창포원  (0) 2011.07.06
흰천일홍(globe amaranth)  (0) 2011.07.06

 

복자기나무

 

복자기나무는 중부 이북 지방의 심산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교목으로 수고 15m, 직경 60㎝에 달한다.

수평적으로는 내장산으로부터 백두산에 이르기까지 각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100m~1,800m까지 분포하고 있다. 분포의 중심지는 600m 내외이며 지리적으로는 중국, 만주 등에

분포한다.

복자기나무는 가을철에 마치 불붙는 것처럼 빨갛게 단풍이 드는 것이 특징으로, 줄기는 곧게 자라며

껍질은 황갈색이고 갈라져서 벗겨진다. 잎은 3개의 소엽으로 대생하며 장타원상 도란형이고 끝부분

가까이에 2~4개의 큰 톱니가 있다. 가운데 소엽은 길이 7~8㎝, 너비 5㎝ 정도이고 잎자루의 길이는

5㎝ 정도로 털이 있다.

꽃은 자웅이가화이나 때로는 잡성도 있으며 5월에 가지 끝에 피는데, 산방화서에 3개가 달리며 화편

에 갈색 털이 있다. 열매는 시과로서 밀모가 있고 9~10월에 익으며 길이 5㎝, 너비 1.5㎝로 날개는

예각 또는 둔각으로 나란히 벌어진다.

복자기나무는 음지에서 잘 자라며, 건조한 곳에서도 적응이 잘되지만 토심이 얕은 곳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다. 내한성으로 추위에는 강하지만 공해와 염해에는 약한 편이다.

목재는 치밀하고 무거우며 무늬가 아름다워 가구재, 무늬합판, 악기재 등 고급 용재로 쓰인다.

복자기나무는 조경수, 정원수, 가로수 등으로 각광받고 있는 수종이다.

 

 

 

 

서울창포원(2011.10.21)

'식물원 > 서울창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국(Chrysanthemum indicum)  (0) 2011.10.22
10월에 핀 원추리꽃  (0) 2011.10.22
서울창포원  (0) 2011.07.06
흰천일홍(globe amaranth)  (0) 2011.07.06
토레니아(Torenia fournieri)  (0) 2011.07.06

서울창포원

 

위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916
Tel   : 02)954-0031

면적 : 52,417㎡

개원 : 2009. 06. 07

주요시설 : 붓꽃원, 약용식물원, 수변식물원, 방문자센터 등

 

주요식물 :

수 목 : 낙우송, 느티나무, 스트로브잣나무, 소나무 등 39종 2,726주

관 목 : 갯버들, 골담초, 조팝나무, 사철나무, 화살나무 등 18종 57,035주

초 화 : 달뿌리풀, 맥문동, 터리풀, 구절초, 물억새 등 43종 319,292본

붓 꽃 : 꽃창포, 노랑꽃창포, 부채붓꽃, 타래붓꽃, 범부채 등 130종 218,453본

 

서울 강북의 끝자락인 도봉산과 수락산 사이에 세계4대 꽃 중 하나로 꼽히는 붓꽃(iris)이 가득한 특수식물원인

서울창포원은 약1만6천평에 붓꽃원, 약용식물원, 습지원 등 12개 테마로 구분 조성되어 있다.

붓꽃원에는 노랑꽃창포, 부처붓꽃, 타레붓꽃, 범부채 등 '붓'모양의 꽃봉오리로 된 붓꽃류 130여종의 다양한

붓꽃 30만본을 심어 붓꽃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 약용식물원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용식물의

대부분을 한 자리에서 관찰 할 수 있으며, 습지원에서는 각종 수생식물과 습지생물 들을 관찰 할 수 있도록

관찰데크가 설치되어 있다.

 

 

 

 

 

 

 

 

꽃창포

 

 

노랑꽃창포

 

 

안젤로니아(Angelonia )

백묘국(2011.06.20)

'식물원 > 서울창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에 핀 원추리꽃  (0) 2011.10.22
복자기나무 단풍  (0) 2011.10.22
흰천일홍(globe amaranth)  (0) 2011.07.06
토레니아(Torenia fournieri)  (0) 2011.07.06
홑왕원추리  (0) 2011.07.05

 

 

천일홍(globe amaranth)

 

비름과(─科 Amaranthaceae)에 속하는 관상용 원예식물.

 

구대륙 열대지역이 원산지이다. 키작은 1년생 식물로 토끼풀 같은 꽃

빽빽하게 무리지어 피는데, 꽃은 드라이플라워로 쓰이기도 한다.

꽃은 꽃잎이 없고, 대신 긴 줄기에 붉은색·분홍색·오렌지색· 흰색의

(苞)가 달린다.

 

 

 

서울창포원(2011.06.20)

'식물원 > 서울창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자기나무 단풍  (0) 2011.10.22
서울창포원  (0) 2011.07.06
토레니아(Torenia fournieri)  (0) 2011.07.06
홑왕원추리  (0) 2011.07.05
가자니아(Gazania)   (0) 2011.07.04

토레니아(Torenia fournieri)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Torenia fournieri

분류: 현삼과

원산지: 인도차이나

크기: 높이 20∼30cm

 

화단에 심는다. 높이 20∼30cm이다. 밑에서 갈라져서 무더기로 자라며 줄기에 4개의 능선이 있다.

잎은 마주달리며 달걀 모양이고 녹색이지만 꽃이 필 때는 자줏빛을 띤 갈색으로 된다.

꽃은 8월 하순부터 10월에 걸쳐서 피며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화관은 통부분과 윗입술꽃잎이 연보라색이고 아랫입술 꽃잎은 끝이 짙은 파란색이며 밑동에

노란색 무늬가 있다. 꽃이 큰 것과 키가 작은 것, 흰색, 핑크색 꽃이 피는 품종 등이 있다.

분이나 화단에 심으며 4∼5월에 종자를 파종한다.

한번 심기 시작하면 종자가 흩어져서 퍼진다.

 

 

 

'식물원 > 서울창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창포원  (0) 2011.07.06
흰천일홍(globe amaranth)  (0) 2011.07.06
홑왕원추리  (0) 2011.07.05
가자니아(Gazania)   (0) 2011.07.04
꼬리풀블루   (0) 2011.07.04

홑왕원추리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 1m 내외.
개화기 : 7 월. 
한국, 중국 동북부, 본 등지에 분포하며 각처의 산지나 초원에서 자란다. 

 

봄에 어린잎을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한다.  

뿌리는 방추형으로 과근이 있으며 잎은 얇고 선형이며, 길이 60-80cm, 폭 1.2-2.5cm로 밑에서

2줄로 대생하며 끝이 둥글게 뒤로 젖혀지며 흰빛이 도는 녹색으로 단단하다. 

꽃은 주황색, 길이 10-13cm로 짧은 화축끝에 6-8송이씩 총상으로 달리며 포는 선상피침형으로

길이 1.5-2cm이며 꽃자루의 길이 3-5cm, 화관통의 길이 2-3cm, 내화피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는 막질이며,수술은 6개로 화관통 위쪽에 달리며 꽃밥은 선형이고 노란색이다.
열매는 삭과로 넓은 타원형이며 세모지고 씨는 검은색이다.꽃모양이 비슷하면서 겹꽃인 것을

왕원추리라 한다.  

 

 

 

 

서울창포원(2011.06.20)

'식물원 > 서울창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천일홍(globe amaranth)  (0) 2011.07.06
토레니아(Torenia fournieri)  (0) 2011.07.06
가자니아(Gazania)   (0) 2011.07.04
꼬리풀블루   (0) 2011.07.04
패랭이꽃(Dianthus sinensis)  (0) 2011.07.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