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독도박물관

 

위치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653

 

서기 512년 이래 울릉도와 함께 우산국의 영토로서 우리

역사와 문화권에 편입된후 지금까지 이어져 온 우리

고유 영토임을 입증하는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울릉도 독도박물관

 

 

독도 우표

 

 

독도 소주, 독도 담배갑

 

 

 

탕건봉

 

 

동도에서 바라 본 서도

 

 

장군바위와 삼형제바위

 

 

서도에서 바라 본 동도

 

 

독도 한반도 바위

 

 

독도 영토 표석

 

 

독도의 일몰

 

독도 서도 코끼리바위(2013.08.29)

                                                                       윤무부 박사와 함께한 NH농협카드 독도문화체험단 독도탐방

사동항 독도행 돌핀호 앞 기념촬영하는 2013 독도문화체험단(가운데 윤무부 박사)

 

NH농협은행은 'NH농협카드 고객과 함께 하는 독도탐방'을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울릉도와 독도를 돌아보고 독도를 이해하기 위한 세미나를 개최하는 방식으로 27일부터 30일까지 3박 4일 동안 진행되었다.
이번 행사에는 이벤트 추첨을 통해 선정된 20명의 고객이 참여했다. 특히 총10명(동반자 1인 포함)의 참여고객을 추첨하는 이벤트에

총 2,000여명이 응모해 약 200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기도 했다.
이번 탐방행사에는 경희대학교 국제연구원 교수진이 함께 참여해 독도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했다. 이와 함께 농협카드는

"독도의 새"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하고 경희대 윤무부 명예교수와의 토론도 가졌다.

농협은행은 "독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관심을 높이기 위해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독도와 관련된 새롭고

다양한 공익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2013.08.28(수). 울릉 사동항 여객선 터미널

 

 

 14:40 ,독도행 돌핀호 탑승

 

 

독도 입도후, 2013 독도문화체험단 독도탐방 기념촬영(가운데 윤무부 박사)

 

 

독도 입도후 기념촬영하는 탐방객 모습(탐방 시간은 20분)

 

 

부채바위 : 독도 동도 부채바위는 남측에서 바라보면 마치 부채를 펼친 모양이라 하여 불려지는 바위

 

 

동도 부채바위

 

 

독도 동도 숫돌바위

 

 

독도 서도, 탕건봉

 

 

독도 서도 코끼리바위

 

 

독도 서도, 탕건봉, 장군바위, 삼형제바위

 

 

독도 서도, 장군바위, 삼형제바위

 

 

독도 동도 숫돌바위 : 높이 98.6m

독도 의용수비대원들이 생활할 당시 칼을 갈았다는 곳으로 바위의 암질이 숫돌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바위는 동도 선착장 입구에 있으며, 섬의 동쪽 끝 부분에 깊이가 100m 정도 되는 컵 모양의 분화구가 있는데,

분화구에서 바다까지 바닷물이 왕래하는 동굴(천장굴) 두 개가 있어 호수를 이루고 있다.

 

 

독도 서도, 탕건봉, 장군바위, 삼형제바위

 

 

출항하는 돌핀호 탐방객에게 손을 흔들며 인사하는 독도경비대

 

돌핀호에서 바라 본 독도/ NH농협카드 독도문화탐방(2013.08.28)

 

 

독도박물관(獨島博物館)

 

위치 : 울릉읍 도동리 581-1번지

전화 : 054-790-6432

 

울릉읍 도동리에 있는 울릉도독도를 홍보·연구하기 위한 박물관.
독도박물관은 대지 5,816평에 연면적 484평,지하1층,지상 2층의 건물로 되어 있다.

지하에는 관장실과 사무실, 자료연구실, 수장고, 전기 및 기계실, 1층에는 두 개의

전시관과 중앙 홀,2층에는 특별 전시실인 제3전시실과 자연생태영상실 및 독도

조망할 수 있는 전망 로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 일본독도 망언 이후 관광객이 급증하여 2000년에 9만4,845명으로 집계

되었으며, 2003년 이후에도 10만명이 넘는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독도박물관과 향토사료관

 

 

야외독도박물관

 

 

독도박물관 표석

 

 

독도박물관 표석

 

 

독도박물관(獨島博物館):

독도박물관의 제1전시실에는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러시아에서 간행된 영토 및 영해 관련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제2전시실은 한국일본의 고지도 및 각종 문헌들이 전시되어 있다.

제3전시실에는 독도의용수비대푸른울릉독도가꾸기모임의 활동상과 일본독도 관련 연구서들과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독도박물관에 있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 표석:

독도 전망 로비에는 독도 현황과 역사, 독도의 사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영상 코너가 구비되어 있으며, 독도의 식물과 조류·어류등

독도의 생태를 사진으로 볼 수 있는 자연생태영상실이 있다. 야외독도박물관에는 독도박물관 표석과 대마도 표석이 세워져 있다.

 

 

 

독도박물관 탕건봉과 삼형제바위 사진

 

 

독도박물관 장군바위와 삼형제바위 사진

 

 

독도박물관 독도 모형

 

 

독도 TV영상

 

울릉도 독도박물관  독도 코끼리바위 사진(2012.06.16)

 

독도(獨島)

 

위치 : 울릉읍 독도리 1-96번지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번지에 속한 법정 도서(島嶼)이다.

동도는 높이 98.6m이며, 서도높이 168.5m로 2개의 큰 섬 및 89개의 돌섬과 암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동쪽 끝에 위치한다.

512년(신라 지증왕13) 하술라주 군주 이사부울릉도를 중심으로 형성된 해상왕국 우산국 정벌

신라에 귀속된 최초 기록에서 우산도(于山島)라는 명칭에서 출발하여1471년 삼봉도(三峰島)

와 1794년 가지도(可支島)로 불렀으며, 독도로 명명된 것은 1881년이다.

행정지명으로서 독도(獨島)라는 명칭은 1906년 울릉군수 심흥택에 의해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경상북도에 편입되었다가 2000년 행정 구역 명칭 및 지번 변경으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6년 12월 현재, 독도의 호적인구는 609세대 2,043명이고 주민등록은 1세대 3명이다. 울릉도

에서 동남 방향으로 87.4㎞, 가장 가까운 일본 오키도현에서 157.5㎞에 위치한다.

주 섬은 동도서도이고 그 외의 부속도서 89개가 암초와 바위로 되어 있으며, 동·서도간 최단

거리는 151m이다.


 

 

썬플라워 2호 에서 바라 본 독도 서도, 탕건봉, 장군바위, 삼형제바위

 

 

썬플라워 2호 에서 바라 본 독도 서도

 

 

썬플라워 2호 에서 바라 본 서도와 삼형제바위

 

 

썬플라워 2호 에서 바라 본  독도 서도, 탕건봉, 장군바위, 삼형제바위

 

삼형제 바위(2012.06.15)

 

 

신비의섬 울릉도(독도)여행 2일차(2012.06.15)

 

07 :00. 조식

07 :30. 육로관광A 코스(07:20 도동소공원)

       - 거북바위, 황토구미,나리분지,공암,송곳봉,노인봉,곰바위,사자암

11 :30. 중식.

     민족의 섬 독도관광 (13:50 관해정)

14 :30  독도 안가면-> 해안산책로 관광(행남등대방면)

18 :00. 석식(자유식)

 

 

 

 

 

통구미(通九味) 거북바위:

위치 : 울릉군 서면 남양 3리 산18-1

통구미(通九味)라는 지명은 그 지형에서 붙여진 지명이다. 양쪽 산이 높이 솟아 있어 골짜기가 깊고 좁아 마치 긴 홈통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것인데,

통구미의 통은 통과 같다는 데서 따르고 구미라는 것은 구멍이란 뜻이니 곧 이 '골짜기가 홈통과 같다'고 하여 '통구미(通九味)'라 불려졌다. 

 

 

 

 

황토구미(黃土九味):

태하항(台霞港)에는 황토구미라 하여 반은 암석이고 반은 황토로 이루어져 있는 동굴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의 황토가 나라에 상납까지 되었다

하며 조정에서는 3년에 한번씩 삼척영장을 이 섬에 순찰보냈는데 그 순찰 여부를 알기 위해서 이 곳의 황토와 향나무를 바치게 했다고 한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이곳 황토의 맛이 짠맛, 쓴맛, 매운맛, 단맛등 아홉가지 맛이 난다하여 황토구미(黃土九味 )라고도 한다.

 

 

 

황토구미

 

 

 

태하항(台霞港):

태하항으로는 지방 2급 하천인 태하천이 흘러들어 온다.

항구 주변에 태하 황토굴과 울릉도의 대표적인 서낭당인 성하신당(), 해안절벽 대풍감(, 해발고도 171m) 등이 있다.

대풍감 위에는 울릉도 등대(태하등대)와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천연기념물 제49호)'가 있다.

 

 

 

태하마을, 태하항

 

 

황토구미 나선형 철재계단(용이 승천하듯 만들어진 소라계단)

 

 

한국10대 비경. 태하마을 해안산책로:

 

 

한국10대비경으로 꼽히는 태하마을 해안산책로:

경사진 암벽에 높이 23m 소라계단과 구름다리, 전망대 등 637m의 산책로가있다. 암벽에 설치한 구조물을 타고 올라가면 태하리와 학포리 해안,

구암 곰 바위등 아름다운 해안이 한눈에 들어온다. 이 일대 갯바위는 울릉도에서도 가장 낚시가 잘 되는 최고의 포인트이기도 하다.

또 하늘 위에 떠 있는 듯한 구조물이 끝나는 지점부터 화산이 만들어낸 기암괴석이 수만 가지 모양을 하고 있어 관광객들의 탄성을 자아내게 한다.

 

 

 

태하마을 해안산책로

 

 

코끼리바위(공암) :

관음쌍굴, 삼선암과 함께 울릉도의 3대 절경 중의 하나이다. 울릉군 북면 현포리 바다에 있는 바위. 바위에 구멍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바위의 표면은 주상절리 현상에 의해 장작을 패어 차곡차곡 쌓아 놓은 모습이다. 코 부분에 폭 10m의 구멍이 해식 터널 형태로 좌우로

뚫려 있어 소형 선박이 드나들 수 있으며, 구멍 입구 좌·우에는 반듯한 돌로 성첩을 쌓아 놓은 듯하다.

 

 

 

노인봉:

위치 : 울릉군 북면 현포리

높이 199m로, 봉우리 전체가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벽 봉우리에 가로로 굵은 결이 있는데 그 모습이 주름살 같이 보인다 하여 노인봉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봉우리 서편은 주상절리가 수직으로 뻗어있고, 동편은 수평으로 주상절리가 발달되어 있다. 봉우리 아래 해안에는 주상절리의 암괴들이 널려 있는데 일부는

해식작용을 받아 암석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해골모양을 하고 있어 해골바위라고 불린다. 울릉도 북쪽 해안가의 일주도로(지방도 926번) 바로 옆에 있다

 

 

송곳봉:

위치 : 울릉군 북면 현포리 산21-1. 송곳처럼 뾰족하게 생겼다고 하여 불리는 봉우리

 

 

나리분지(羅里盆地):

울릉군 북면 나리에 있는 분지. 면적은 1.5㎢, 동서와 남북 간 길이는 각각 1.5㎞와 2.0㎞이다.

신생대 제3기말에서 제4기의 화산활동으로 생성된 화산체의 함몰에 의해 형성된 화구원이며, 그 안에서의 재분출로 알봉에서 용암이 흘러내려

알봉분지와 나리분지로 분리되었다. 사방이 500m 내외의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울릉도에서는 유일하게 넓은 평야지대를 이룬다.

 

 

 

나리분지(羅里盆地)

 

 

우리땅 독도 / 서도. 탕건봉, 장군바위, 삼형제바위

 

 

우리땅 독도. 서도

 

 

독도 동도

 

독도 동도(2012.06.15)

'여행 > 울릉도,독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릉도 노인봉(해골바위)  (0) 2012.06.23
울릉도 코끼리바위(공암)  (0) 2012.06.23
울릉도 통구미(通九味) 거북바위   (0) 2012.06.21
울릉도 구암 곰바위  (0) 2012.06.21
울릉도 투구봉  (0) 2012.06.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