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붕부통령별장

 

1920년대에 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건축되어 현재까지 보존된 건물로써 해방이후에 북한공산당 간부 휴양소로

사용되어 오다가 휴전후 부통령이었던 이기붕부통령의 부인 박마리아가 개인별장으로 사용하였으며 1999년7월

전시관으로 개수 운영하고 있다.

 

 

 

 

 

 

 

 

 

 

 

'여행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진포(花津浦)풍경  (0) 2017.01.28
화진포해수욕장  (0) 2017.01.27
고성 화진포의성(김일성별장)  (0) 2017.01.25
월정사 삼성각(三聖閣)  (0) 2017.01.24
월정사 금강루(金剛樓)금강문(金剛門)  (0) 2017.01.23

화진포의성(김일성별장)

 

소재지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 606

 

화진포의 성(김일성별장)이 세워진 연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김일성은 1948년부터 50년까지

처 김정숙,아들 김정일,딸 김경희등 가족과 함께 하계휴양지로 화진포를 찾았다. 48년 8월 당시 6살이던

김정일이 소련군 정치사령관 레베제프 소장의 아들과 별장입구에서 어깨동무를 하고 찍은 사진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화진포의성(2016.11.2)

삼성각(三聖閣)

 

삼성각은 독성 나반존자,산신님, 칠성님을 함께 모신곳이다. 나반존자는 남인도 천태산에서 홀로 선정을 닦아 십이연기(十二緣起)를 깨달은 성자

우리나라에서는 단군을 신격화한 것으로 신앙되고 있다. 칠성님은 본디 중국에서 유입된 도교신앙의 신으로 불두칠성의 별자리를 신격화한 것으로

한국에 들어와 토착화 되었다. 처음에는 약사(藥師) 신앙과 결합 되었다가 조선 중기 이후 수명신본디 모습이 강조되어 병자나 자식낳기를 기원

하는 사람들의 신앙이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산에 호랑이가 많았으며 산을 주재하는 산악신이 있다고 믿었다. 산신님의 다른 모습은 호랑이라고 믿

었으며 주로 호랑이와같이 표현된다. 이는 모두 불교가 들어오면호법신장(護法神將)의 하나로 흡수된것으로 불교의 포용력과 흡수력을 보여

는 것이라 하겠다. 상단에 칠성탱화와 칠성조각모시고, 향우측(向右側)으로 산신탱화와 산신조각, 향좌측(向左側)으로 독성탱화와 조각을 봉안

하고 있다. 1994년 현해스님 때 중건했다.

 

 

 

 

 

 

월정사(2016.11.29)

금강루(金剛樓)금강문(金剛門)

월정사의 금강루사천왕문을 지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일주문,사천왕문,불이문으로 이어지는 한국사찰의 가람배치에 있어서 월정사는 불이문의 자리에 금강문을 두고 있다. 금강문의

오른쪽에는 움금강역사상이라고도 하는 나라연금강이, 왼쪽에는 훔금강역사상이라고도 불리우는 밀적금강이 있으며 특히 밀적

금강역사는 지혜의 무기인 금강저를 들고 부처님을 호위한다. 이는 일체만물의 생성에서 부터 소멸까지를 표현한 것으로​ 금강

역사의 강한 힘과 지혜로 불법을 호지(護持)하고 사찰을 수호하며 불교의 진리를 표현하고 있다. 전면3칸,측면2칸,2층누각으로

1997년 12월 현해스님이 착공하여 1999년 10월에 낙성했다.​

 

 

 

 

 

 

 

월정사 금강문(2016.11.29)

'여행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성 화진포의성(김일성별장)  (0) 2017.01.25
월정사 삼성각(三聖閣)  (0) 2017.01.24
거진 해맞이봉 산림욕장(산림헌장)  (0) 2017.01.22
거진의 바다정원 흰섬  (0) 2017.01.21
운악산 현등사 일주문  (0) 2017.01.20

거진 해맞이봉 산림욕장​(산림헌장)

숲은 생명이 숨 쉬는 삶의 터전이다, 맑은 공기와 깨끗한 물과 기름진 흙은 숲에서 얻어지고,

온 생명의 활력도 건강하고 다양하고 아름다운숲에서 비롯된다. 꿈과 미래가 있는 민족만

숲을 지키고 가꾼다.이에 우리는 풍요로운 삶과 자랑스러운 문화를 길이 이어가고자 다음과

같이 다짐한다

* 숲을 아끼고 사랑하는 일에 다 같이 참여한다

* 숲의 다양한 가치를 높이도록 더욱 노력한다

* 숲을 울창하게 보전하고 지속가능하게 관리한다

2002년 4월 5일​

 

 

 

 

 

거진해맞이봉산림욕장(2016.11.29)

'여행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정사 삼성각(三聖閣)  (0) 2017.01.24
월정사 금강루(金剛樓)금강문(金剛門)  (0) 2017.01.23
거진의 바다정원 흰섬  (0) 2017.01.21
운악산 현등사 일주문  (0) 2017.01.20
운악산 현등사 삼성각(三聖閣)  (0) 2017.01.19

거진의 바다정원 흰섬(백섬)

 

거진 뒷장에 위치한 이 섬은 예전에는 잔돌이 많아 잔철로 불리다가

이중 제일 큰 바위가 갈매기 배설물로 하얗게 보인다 하여 지금의

백섬이 되었다.

 

 

 

 

 

 

 

 

 

거진(2016.11.29)

현등사

 

소재지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길 34

 

현등사는 가평군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고찰로서,신라 제23대 법흥왕때 인도에서 온 마라아미 스님을 위하여 창건한 것이라 한다.

후 수백년동안 폐허로 버려져 오다가 고려 제21대 희종때 보조국사 지눌이 운악산 중턱에서 불빛이 비치는 곳을 찾아가니 석대

위에 옥등이 달려 있었다. 그래서 그곳에 절을 중건하고 현등사라 했다. 그뒤 조선 태종11년(1411) 함허대사가 중수했고, 순조 29

년(1829)화재를 만나 건물이 전소된 것을 이듬해 최윤 원빈스님이 보광전, 극락전, 요사등 건물을 중수, 1984년 충현 스님이 극락

전,보광전등을 개축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경내에는 현재 3층석탑, 지진탑(보조국사사리탑), 화담당경화탑, 함허대사 부도, 북악

부도 등의 문화재와 사찰 건물내에는 아미타불 좌불상, 후불탱화, 동종 등 전래의 유물들이 보존되고 있다. 또한, 무우폭포, 백년

폭포, 궁소, 눈썹바위, 치마바위, 거북바위 등 자연의 절경이 많아 명승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주차장에서 절로 오르는 약2km

의 구간과 현등사 주변으로는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다래, 산철쭉, 산진달래, 소나무 등이 우거져 있다.

 

 

 

 

 

현등사 일주문(2016.12.18)

삼성각(三聖閣)

 

정면 3칸, 측면 1칸의 건물로

화강석 기단 위에 건립했다.

 

 

 

 

 

 

현등사 삼성각(2016.12.18)

현등사 만월보전(滿月寶殿)

 

높이 약 11m. 2층 목탑이다.

약사여래를 주불로 모신

약사전이다.

 

 

 

 

 

 

현등사 만월보전(2016.12.18)

현등사 삼층석탑(懸燈寺三層石塔)

 

소재지 : 경기도 가평군 현등사길 34 (하면, 현등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

현등사 내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다. 현등사는 신라 법흥왕 때 인도의 스님 마라하미가 불교의 교리를 전하러 신라로 건너오자,왕이 그

를 위하여 이곳 운악산에 큰절을 짓도록하여 세워진 사찰이다. 그 후 황폐해 있던것을 고려 희종 때 보조국사가 재발견하여 다시 건물을

짓고 ‘현등사’라 이름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들은 조선 순조 30년(1830)때 암구대사에 의해 새로 지어진 것들이다.이 탑은 보조국사

의 3층석탑이라고 전하여지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또한 3층석탑이지만 원래는 5층석탑이었고, 현재는 2층의 몸돌과 지붕돌이 없어진 상

태라고도 하여 층수구분이 애매하다. 탑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 역시 2층이라는 의견이 있으나 위층에 해당하는 부분의 덮개돌이

지붕돌모양을 하고 있어서 이 부분은 기단보다는 탑신부(塔身部)의 1층에 더 적격일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의견이 더욱 타당할듯하다.
당시 고려시대의 자유로운 조각기법을 보여주듯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는 기단은 마치 사리탑에서 보던 모습과 거의 비슷하여 상·중·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운뎃돌에는 면마다 둥근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고 이를 사이에 둔 위아랫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겨 넣었다.

탑신부의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힘차게 들려있고, 밑면의 받침은 1·2층은 4단,3층은 3단을 두어 변화를 주었다. 꼭대기에는 꽃과 구슬이

새겨진 머리장식이 놓여 있다.안정감이 드는 작품으로, 특이한 모습의 기단부,지붕돌의 부드러운 처마곡선 등 각 부분의 양식들이 고려

시대 후기세 세운 것임을 잘 보여준다.

 

 

 

 

현등사 삼층석탑(2016.12.18)

+ Recent posts